0. 주어진 문제 

우선, 이항 계수를 정의하는 방법을 생각해보자.

먼저 생각나는 것은 이항계수2(https://kyunstudio.tistory.com/56)에서 구한 점화식 형태이다.

의 방식을 활용하는 것이다.

이 경우는 재귀호출법을 이용해 구현을 할 수 있었다. 허나 이 식의 복잡도는 으로 10억이 넘는 수를 계산하니 시간 제한을 넘길 수 밖에 없었다.


그래서 다른 방법을 찾아보았는데, 이항 계수의 정의을 활용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 식을 활용하면 답을 빠르게 구할 수 있을 것 같은 예감이 드는데, 아직 몇가지 단계를 더 거쳐야 한다.

왜냐하면, 분수의 형태에는 mod가 각각 나눠지는 것이 불가능 하기 때문이다.(분모가 0이 되어버리므로)

따라서 형태를 형태로 바꿔주는 연산이 필요하다.

여기서 페르마의 소정리를 활용하게 된다. 페르마의 소정리는 

p가 소수이고 a가 p의 배수가 아니면, a^{p-1} \equiv 1 \left( \text{mod}\ p \right) 이다.
즉, {a}^{p-1}을 p로 나눈 나머지는 1이다.

인데, 여기서 다시 생각해보면, 이라는 소리이다.

위의 식을 활용하면,  이 성립하게 된다.

따라서, 주어진 입력은 4,000,000으로 팩토리얼을 구하는 연산은 O(n)에 끝낼 수 있고, 제곱을 구하는 연산은 분할정복을 통해 O(log n)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1초 안에 수행이 가능하게 된다.



+) 추가적으로

확장 유클리드 방정식(참고)과 베주 방정식이라는 것을 활용하는 방법도 있었다.


적어도 둘 중 하나는 0이 아닌 정수 a, b가 있다. 그리고 a와 b의 최대공약수를 d라고 하자. 이때, 다음 세 명제가 성립한다.
1. d= ax + by를 성립하게 만드는 정수 x, y가 반드시 존재한다.
2. d는 정수 x, y에 대하여 ax+by 형태로 표현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자연수이다.
3. 정수 x, y에 대하여 ax+by 형태로 표현되는 모든 정수는 d의 배수이다.

이 항등식을 활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우선, 우리가 해야하는 목표는 분모 부분을 없에는 방법을 찾는 것이다. 이 분모를 라 하자.

우리에게 주어진 1,000,000,007이라는 수는 10억이 넘는 수 중에서 가장 작은 소수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즉 B와 q는 서로소라는 소리이다. 즉 최대 공약수는 1이 된다.

따라서, 가 성립하게 된다. 여기에 %p를 취해보자.(이때, B는 처음 식의 분모 부분)

이 성립한다는 뜻이다.

즉, 처음 주어진 식 에 이를 대입하면, 가 된다.

이때, x는 유클리드 확장 방정식을 활용하여 구해낼 수 있다.(참고)

확장 유클리드 호제법에 따르면

인 식이 주어질 때, 

이다.(p>b 이므로)

이 초기값을 가지고의 값이 0이 될때까지 점화식을 이어나가면 x의 값을 구할 수 있게 된다.

보기 쉽게 표로 만들어보자면,

 

x

 y

 i=0

0

1

p(1,000,000,007) 

 

 i=1

1

0

B(K!*(N-K)!)

 p/B

 i=2

0 - 1*[p/B]

1 - 0*[p/B]

p%B 

[p%B]/B 






 2. 소스코드


페르마의 소정리를 활용한 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include <cstdio>
#include <algorithm>
#define P 1000000007LL
typedef long long ll;
using namespace std;
ll fac[4000001], n, k, inv[4000001];//inv[x]의 정의는 x의inverse가 아닌 x!의 inverse
ll power(ll x, ll y) {    //분할 정복을 이용하여 x^y 구하기
    ll ret = 1;
    while (y > 0) {
        if (y % 2) {
            ret *= x;
            ret %= P;
        }
        x *= x;
        x %= P;
        y /= 2;
    }
    return ret;
}
int main() {
    fac[1= 1;
    for (int i = 2; i <= 4000000; i++)
        fac[i] = (fac[i - 1* i) % P;            //factorial 전처리
    inv[4000000= power(fac[4000000], P - 2);    //페르마의 소정리를 이용하여 fac(400만)의 inverse를 구함(이때 분할 정복을 이용하여 logP의 시간에 처리) 
    for (int i = 4000000 - 1; i > 0; i--)
        inv[i] = (inv[i + 1* (i + 1)) % P;    //inverse(fac(i))=inverse(fac(i+1))*(i+1)이라는 수식을 이용하여 전처리
    //총 O(N+logP)시간에 전처리를 끝냄 
    //전처리가 끝났기 때문에 어떤 쿼리가 들어와도 상수시간에 이항 계수를 계산 가능
    scanf("%lld%lld"&n, &k);
    if (n == k || !k) {
        puts("1");
        return 0;
    }
    ll r = (fac[n] * inv[n - k]) % P;
    r = (r*inv[k]) % P;
    printf("%lld\n", r);
    return 0;
}
cs


확장 유클리드 호제법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include <iostream>
 
const long long p = 1000000007;
long factorial[4000000];
long x_after, x_before, temp, q;
 
void euclidean(long p,long B) {
    if (p%B > 0) {
        euclidean(B, p%B);
        temp = x_after;
        x_after = x_before - (p/B)*x_after;
        x_before = temp;
    }
    else {
        x_after = 1;
        x_before = 0;
    }
}
 
int main() {
    int N, K;
    std::cin >> N >> K;
    factorial[0= factorial[1= 1;
    for (int i = 2; i <= N; i++
        factorial[i] = (factorial[i - 1* i) % p;
 
    long B = (factorial[K] * factorial[N - K]) % p;
 
    euclidean(p, B);
    long result = ((factorial[N] % p)* (x_after%p)) % p;
    if (result < 0) result += p;
    std::cout << result << std::endl;
}
cs



 3. 문제 출처


https://www.acmicpc.net/problem/11401


 4. 참고


(참고할때 위키까지 읽어보시길)

페르마의 소정리를 활용한 풀이

https://www.acmicpc.net/board/view/15795

https://namu.wiki/w/%ED%8E%98%EB%A5%B4%EB%A7%88%EC%9D%98%20%EC%86%8C%EC%A0%95%EB%A6%AC


확장 유클리드 방정식과 베주 항등식을 활용한 풀이

https://onsil-thegreenhouse.github.io/programming/problem/2018/04/02/problem_combination/

https://namu.wiki/w/%EB%B2%A0%EC%A3%BC%20%ED%95%AD%EB%93%B1%EC%8B%9D


확장 유클리드 방정식 코드

-https://codepractice.tistory.com/79


+ Recent posts